전체 글 76

[Project] 불필요한 Entity 제거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최적화 – Test Entity를 없앤 이유

기존 설계에서 Test 엔티티의 역할초기 설계에서는 Test 엔티티가 존재하여 StudentTest 및 ProblemSet과 연관을 맺고 있었다.원래 설계 자체가 Test 엔티티를 먼저 생성을 한 후 Student 엔티티와 N:M 관계를 맺기위해 StudentTest 엔티티를 만들었다.Test 엔티티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시험의 개념적 관리: 특정 시험을 식별하고, 관련된 문제(problem set)를 그룹화하는 역할학생과 문제의 연결 고리: StudentTest와 ProblemSet이 Test를 참조하여 시험을 진행시험 단위의 개념적 유지: 시험이라는 개념을 독립적인 엔티티로 유지하여, 여러 학생이 동일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구성Test Entity@Entity@Table(name = "..

EduClass Project 2025.03.05

[JPA] 영속성 관리(Entity Manager, Entity Factory, Persistence Context)

Entity Manager와 Entity FactoryJPA는 크게 Entity와 테이블을 매필하는 설계 부분과 매핑한 Entity를 실제 사용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Entity Factory 생성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jpa"); Entity Manager는 Entity를 저장하고, 수정하고, 삭제하고, 조회하는 등 Entity와 관련된 모든 일을 처리하는 관리자이다.// Entity Manager 생성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Entity Factory는 이름 그대로 Entity Manager을 만드는 공장이다. 공장을 만드는 비용은 상당히 ..

DATABASE 2025.02.16

[SQL] JPA란 무엇인가?

JPA란 무엇인가?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이다. JPA는 애플리케이션과 JDBC사이에서 동작한다.   ORM이란 무엇인가?ORM(Object-Relational Mapping)은 이름 그대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한다는 뜻이다. ORM 프레임워크는 객체와 테이블을 매핑해서 패러다임의 불일치 문제를 개발자 대신 해결해준다. 예를 들어 ORM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INSERT SQL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를 마치 자바 컬렉션에 저장하듯이 ORM 프레임워크에 저장하면 된다. 그러면 ORM 프레임워크가 적절한 INSERT SQL을 생성해서 데이터베이스에 객체를 저장해준다. 따라서 ORM 프레임워크는 객체 ..

DATABASE 2025.02.12

[Project] (4) API 구현(@RequestParam vs @PathVariable)

@GetMapping 사용법@GetMapping("/api/problem-set/{id}")public ResponseEntity getProblemSet(@PathVariable Long id) { ProblemSet problemSet = problemSetService.getProblemSet(id); // 서비스에서 문제지 조회 return ResponseEntity.ok(new ProblemSetResponse(problemSet));}동작 방식GET /api/problem-set/1 이런 요청이 들어오면{id}에 1이 들어감@PathVariable Long id가 1을 받음problemSetService.getProblemSet(1)이 실행됨@RequestParam과 차이점은?@Pa..

EduClass Project 2025.02.07

[Project] (3) 프로젝트 시작(MVC 패턴, 디렉토리 구조)

엔터티의 구조를 바꿨다. 일단 user의 타입을 따로 인가테이블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로그인 시 타입에 따라서 다른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학생과 학부모의 관계가 n:m 관계이므로, 중간에 연결할 수 있는 학생-학부모 테이블을 생성하였다.관리자 테이블의 속성을 많이 줄였다.이제부터는 이 Entity들을 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spring project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MVC 패턴MVC 패턴은 Spring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역할에 따라서 Model, Controller, View로 로직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패턴이다.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좀 더 나은 관리를 하기 위해 사용한다.일단 각각을 알아보기 전에 소프트웨어가 이..

EduClass Project 2025.02.05

[SQL] YEAR()은 효율적인가?

처음으로 SQL 프로그래머스 문제들을 풀어보기 시작했다.  정보처리기사 공부할 때 DML, DCL, DDL 공부를 하면서 잠시 쿼리문을 작성하는 것을 해보았지만 이렇게 직접 예시문제를 풀다보니 실력이 훨씬 더 빨리 느는것 같았다.근데 이렇게 문제를 풀다가 보니 구글링하면서 배운 함수들이나 방식들은 엄청 다양해서 한 문제를 푸는 방법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런 쉬운 문제를 풀때도 방식마다 장단점이 어떤게 있는지 리뷰해보려고 한다. 1. AND 나열과 YEAR()SELECT COUNT(*) USERSFROM USER_INFOWHERE AGE >= 20 AND AGE 처음에 내가 접근했던 방식이다. 처음에 20세 이상 29세 이하를 어떻게 표현해야하지 하다가 그냥 범위 AND문..

DATABASE 2025.01.26

[Project] (2) 프로젝트 시작(Entity 설계, 변수명)

프로젝트 이름은 EduClass로 붙였다.일단 이 서비스 자체가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온라인 클래스와 비슷해서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 EduClass를 시작할 데이터베이스를 정리했다. 처음에는 Entity를 구성할 때 좀 막막했던 것 같다. 일단 pk, fk의 개념이 확실히 와닿지 않다보니 중복해서 넣는 속성들이 많아지니 복잡해졌다. 예를 들어보자.처음에는 user의 분류를 3개로 나눴다. '학생', '학부모', '관리자''학생'은 강의를 듣고 시험을 보는 user.'학부모'는 본인의 학생의 강의 수강 상황과 시험 점수를 열람할 수 있는 user'관리자'는 학생과 학부모의 정보를 관리하고 문제와 강의를 편집할 수 있는 user 각각의 email과 pw를 속성으로 만들었다. 그럴 경우 로그인을 할 때 ema..

EduClass Project 2025.01.24

[Project] (1) 프로젝트 시작(플로우차트, Entity 설계)

예전에 부트캠프에서 spring으로 CRUD를 구현해 본 경험이 있다. 그 때는 팀 프로젝트로 진행을 하기도 했고, 학원에서 주는 템플릿으로 디렉토리, 서버, 플로우차트 등 제작을 하였어서 내가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를 잘 모르는 상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다. 그래서 처음으로 개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서 내가 어떤 방법으로 하나의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 공부할 과정을 적어보려고 한다.📍 주제 선정나는 처음에 프로젝트 주제를 생각하다 예전에 내가 다닌 대학교 온라인캠퍼스 홈페이지를 클론코딩했던 경험이 있다. 그 땐, 프론트엔드로 개발공부를 하던 시절이라 html, css, js 정도로 구현을 하였다. 근데 그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중에 백엔드를 공부하여 데이터가 움직이고 기능을 구현하는 것까지 ..

EduClass Project 2025.01.23

[Spring] Spring Boot Container란 무엇인가?

1. 컨테이너(Container)를 왜 사용하는가?객체 간의 의존성 문제 해결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객체 간의 의존성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객체가 서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코드 변경 시 모든 연관된 코드가 수정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Spring Boot의 컨테이너는 객체 간의 의존성을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코드의 모듈화와 유지보수성 향상컨테이너는 객체 생성을 개발자가 직접 처리하지 않도록 하여 코드의 모듈화를 지원합니다. 이는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킨다.개발자 작업의 단순화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의 객체 생성과 의존성 주입, 생명주기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날 수 있다..

SPRING 2024.12.26

[Spring] Maven vs Gradle

Maven과 Gradle은 Java 애플리케이션의 빌드와 의존성 관리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 두 도구는 소프트웨어를 컴파일, 테스트, 패키징, 배포하는 데 필요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Maven은 XML기반의 선언적 방식으로 설정을 정의하며, 전통적인 빌드 도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에 반해 Gradle은 선언적 방식과 프로그래밍적 방식을 혼합한 DSL(Domain-Specific Language)을 활용하며, 현대적인 빌드 요구사항에 맞춘 유연성과 속도를 제공한다.1. Maven과 Gradle의 주요 차이점기본 철학과 빌드 스크립트항목MavenGradle철학선언적 빌드. XML파일을 사용하여 의존성 선언선언적 + 프로그래밍적 빌드. Groovy 또는 K..

SPRING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