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4

[Network] 공인(Public) IP vs 사설(Private) IP

인터넷 상에서 어떤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알려고 할 때, 많은 사람들이 IP주소는 하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생각과는 다르게 IP주소는 공인 IP와 사설 IP로 나뉜다. 그럼 두 IP주소는 다른점이 뭘까?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에 접근 할 때 경로먼저 네이버의 도메인 주소(www.naver.com) 를 DNS(Domain Name System)가 IP 주소(예: 223.130.195.200)로 변환해준다.이 때, IP 주소가 공인 IP이다.우리가 집에서 쓰는 모든 기기들은 각각 사설 IP를 가지고 있고 모두 공유기(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이 때, 공유기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은 외부로 나갈 때 공인 IP 주소를 갖고 나가지만 사설 IP를 기억해놨다가 응답이 돌아오면 그 사설 IP에 맞게..

Network 2025.06.14

[Network] ARP vs RARP

컴퓨터끼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가 어떻게 서로를 알아보고 통신할까? 우리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www.google.com 처럼 도메인주소를 이용한다. 컴퓨터는 이걸 IP 주소로 바꾸고, 상대방과 통신을 시작한다. 그런데 여기서 IP주소만 가지고는 데이터가 실제로 도착하지 않는다. IP 주소? MAC 주소?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이다. 이 IP주소를 알아도 데이터가 실제로 그 장치에 도달하지 않는데, 정확하게 그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실제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도 알아야 한다.그 주소를 바로 'MAC' 주소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경해주는 또는 MAC 주소를 IP..

Network 2025.06.13

[Network] TCP vs UDP 차이가 무엇일까?

네트워크 전송 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인 TCP와 UDP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송 계층'은 말그대로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가는 데이터의 전송을 맡는 계층이다. 그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규약들이 존재하는데 그것들 중 하나가 TCP, UDP이다. 밑 사진은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사진이다.TCP(Transmission Controll Protocol)란?TC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안정적으로 전송시키는 프로토콜이다. 보통 TCP는 IP와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TCP는 데이터를 잘게 나누고, 추적하고, 순서대로 재조립하는 역할을 하고, IP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주소를 찾아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IP는 데이터를 목적지에 보내주는 역할만 하고..

Network 2025.06.11

[Network] HTTP/1.1과 HTTP/2의 차이는 무엇일까?

HTTP/1.1HTTP/1.0에서 발전한 것이 바로 HTTP/1.1이다. 매번 TCP 연결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 TCP 초기화를 한 이후에 keep-alive라는 옵션으로 여러 개의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게 바뀌었다. 한 번 3-way-handshake가 발생하면 그다음부터 발생하지 않는다. 1.1의 헤더에는 쿠키 등 많은 메타데이터가 들어있고 압축이 되지 않아 무겁다. 또한 직렬처리로 인해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보낼 때, 한 번에 하나씩 보내므로 HOL Blocking이 발생한다. 네트워크에서 같은 큐에 있는 패킷이 지연되는 현상을 말한다. HTTP/2HTTP/2는 지연시간을 줄이고 응답시간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멀티플렉싱, 헤더 압축, 서버 푸기, 요청의 우선순위 처리를 지원한다.멀티플렉싱멀..

Network 2025.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