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2

[Project] 복합 키 적용 전후, MySQL 성능 차이 실험 - MySQLWorkBench

복합 키를 쓰면 정말 쿼리 성능이 좋아질까?JPA에서 N:M 관계를 설계할 때, 중간 테이블에 고유 ID(@Id)를 쓸지, 복합 키(@EmbeddedId)를 쓸지는 꽤 자주 마주치는 고민이다.이전 포스팅(복합 키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에서는 주로 설계적인 장점을 다뤘다면, 이번엔 성능을 실제로 수치화해서 비교해봤다. 실험 배경EduClass에서 ProblemSet(문제집)과 Problem(문제)은 N:M 관계를 갖는다. 이를 위해 중간 테이블 problem_set_to_problem을 설계했는데, 초기엔 단순하게 id를 기본 키로 쓰는 방식으로 구성했다. 하지만 두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중복 등록 방지 불가→ 동일한 문제집-문제 조합이 여러 번 삽입됨조회 성능 저하→ problem_set_id로 검색 ..

EduClass Project 2025.03.25

[SQL] JPA란 무엇인가?

JPA란 무엇인가?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이다. JPA는 애플리케이션과 JDBC사이에서 동작한다.   ORM이란 무엇인가?ORM(Object-Relational Mapping)은 이름 그대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한다는 뜻이다. ORM 프레임워크는 객체와 테이블을 매핑해서 패러다임의 불일치 문제를 개발자 대신 해결해준다. 예를 들어 ORM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INSERT SQL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를 마치 자바 컬렉션에 저장하듯이 ORM 프레임워크에 저장하면 된다. 그러면 ORM 프레임워크가 적절한 INSERT SQL을 생성해서 데이터베이스에 객체를 저장해준다. 따라서 ORM 프레임워크는 객체 ..

DATABASE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