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 2

[Interview Question] N+1 문제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N+1 문제는 JPA같은 ORM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한 번의 쿼리를 실행해서 엔티티 리스트를 가져온 다음 그 엔티티와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하려고 접근할 때 엔티티 개수만큼 추가로 쿼리가 실행되는 문제입니다. 원래는 쿼리 한 번이면 충분한 작업이 N+1번의 쿼리로 나누어 실행되어 불필요한 DB 부하가 발생하는 것이 N+1 문제입니다. ORM은 성능 이슈로 인해 기본원칙이 지연 로딩(lazy loading)입니다. 즉시 연관 엔티티를 가지고 오지 않고, 실제로 접근하는 시점에 쿼리를 날려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데이터 수가 많아질수록 조회 횟수가 늘어나므로 네트워크 왕복 비용, DB 부하, 메모리 사용량 등이 커져서 성능 병목이 발생합니다. N+1 문제 해결방법은JPQL에서 JOIN FETCH를 사..

Interview Question 2025.09.02

[Interview Question] INNER JOIN, LEFT JOIN 차이는 무엇인가요?

INNER JOIN의 경우 조인 조건을 만족한 행만 반환합니다. 교집합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예를들면 어떤 상품을 구매한 유저를 찾기 위해 상품주문 테이블과 유저 테이블을 조인했다고 가정하면,INNER JOIN을 했을 때, 상품 주문을 한 유저들만 반환합니다. LEFT JOIN의 경우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반환하고 오른쪽 테이블 행 중 조인 조건을 만족한 행도 가져옵니다.매칭되는 값이 없다면 NULL값으로 반환합니다.LEFT JOIN을 했을 때, 모든 유저를 반환하고 상품 주문을 한 유저는 상품주문 id를 반환하며 상품주문을 하지 않는 유저는 NULL을 반환합니다.

Interview Question 2025.09.02